주식 투자의 격언 중 '5월에는 팔라(Sell In May)'는 말이 있다. 4월말 기준으로 1분기 성과 발표가 마무리되어 여름 바겐세일(?) 기간에 접어드는 첫 달이기 때문이다. 승률로 보더라도 4월까지는 70~90%에 이르다가 5월 이후로는 50% 이하로 떨어지기 때문에 투자를 피하는 것이 현명할 수 도 있다. 하지만 지금의 장세는 실적이 뒷받침되고, 경기가 살아나는 시점이며, 금리가 아직까지 인상되기 이른 시점이기 때문에 꼭 팔지 않아도 될거라는 판단을 하게 되었다. 물론 승률이 워낙 낮은 달이기 때문에 감당할 수 있는 규모의 자금만 융통하는 것이 정답이라는 것을 항상 유념해야 한다. (켈리 베팅에 의하면 승률이 50% 이하인 경우에는 베팅해선 안된다.)
자, 그럼 5월의 투자 결과는 어땠을까? 지금 바로 공개한다.
항목 | 2021년_1월 | 2021년_2월 | 2021년_3월 | 2021년_4월 | 2021년_5월 |
월간 수익률 | 3.73% | 8.47% | 10.33% | 7.26% | 18.09% |
월간 누적수익률 | 129.4 | 140.3 | 154.8 | 166.1 | 196.1 |
코스피 | 128.4063517 | 129.5179496 | 131.3865718 | 133.08029 | 134.5731451 |
코스닥 | 102.7348328 | 99.93059231 | 104.2010013 | 103.7726657 | 104.7782294 |
리밸런싱 여부 | 0 | 0 | 0 | 1 | 1 |
이게 어떻게 된 일일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Sell In May'라는 말과는 달리 5월은 올 해 들어 가장 상승률이 높은 달이 되었다. 🤣 4월부터 실적장세에 접어들면서 펀데멘탈이 좋고, 비교적 저평가된 내 포트폴리오가 상승기에 접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추가적으로 4월 말임에도 아직까지 펀데멘탈이 주가에 반영되지 않은 5종목을 추가로 매수한 것도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역시 한 종목에 대한 비중이 높을 때 수익률도 크게 나오는 걸까?
4월부터 비중을 실제 운용 규모로 늘린 것을 참 잘한일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와 동시에 5월에 큰 수익을 냈음에도 오히려 비중을 축소한 스스로에게 칭찬을 해주고 싶기도 하다. 언제 고꾸라질지 모르는 시장 분위기에선 베팅에 늘 신중해야 한다는 것을 유념하고 있기 때문에 올해 말까지는 비중을 계속 일정하게 가져갈 것이다. 그렇게 하면 내년에 어떤 이벤트가 발생하던 나는 그 흐름에 올라탈 수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 주의할 점
1. 언제든 실패할 수 있기에 주변 사람들에게 투자 수익률을 자랑하지 말 것.
2. 시장의 방향성이 내 예상과 다르게 흘러갈 경우 언제든 비중 축소를 고려할 것.
3. 겁먹지 말 것.
4. 견뎌낼 것.
5. 조바심 내지 말 것.
이 다섯가지를 꼭 명심해서 남은 하반기도 잘 마무리 했으면 좋겠다. 이상 회고를 마친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회고] 7월의 끝에서 하반기를 가늠해보며 (0) | 2021.07.30 |
---|---|
[투자회고] 2021년 2분기 투자소회 (0) | 2021.06.29 |
[가상화폐] 코인도 상장폐지될 수 있습니다. - 업비트 유의 종목 지정 (1) | 2021.06.11 |
[투자회고] 성공한 매매 - 코이즈 (0) | 2021.05.18 |
[투자일지] 2021년 4월 투자 회고 (0) | 2021.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