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쓰기/책쓰기

[투자기초] 무엇에 투자해야 할까 - 펀드의 종류

펀드의 종류

펀드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우선 투자자를 모집하는 방법에 따라 공모, 사모 펀드로도 나뉜다. 공모 펀드란 50인 이상의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운용되는 펀드이며, 사모 펀드는 50인 미만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운용되는 펀드이다. 사모 펀드는 일반인이 쉽게 가입할 수 없고, 자산 규모나 다른 조건에 의해 선별된 인원만 가입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증권사를 통해 가입하는 펀드는 공모 펀드이다.

그리고 투자 대상에 따라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 부동산, 해외투자 펀드 등으로 나뉜다. 이 유형의 특징은 해당 투자 자산의 비중이 일정 비율 이상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의 경우 각 자산의 비중이 운용 자산 전체의 60% 이상 포함되어야 하며, 혼합형 펀드의 경우 주식이나 채권 중 어느쪽이든 60% 이상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 부동산 펀드의 경우 부동산 관련 자산이 운용 자산의 50%를 초과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해외투자 펀드는 말 그대로 해외의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하는 펀드이다. 투자 대상이 된 나라가 선진국인지 신흥국인지에 따라 수익률과 위험도가 달라지며, 주식형인지 채권형인지에 따라서도 그 속성이 천차만별로 달라지므로 많은 공부가 필요한 상품이다. 

또한 운용 전략에 따라 액티브, 인덱스(패시브) 펀드로 나뉜다. 액티브 펀드는 펀드 매니저에 의해 직접 운용되는 펀드이며, 펀드 매니저의 실력에 따라 수익률이 천차만별이다. 반면에 인덱스 펀드는 특정 주가 지수를 추종하도록 투자 대상을 선별하며, 패시브(Passive)한 투자를 하는 펀드이다. 그래서 펀드 매니저의 역할보다 시장 상황이나 해당 산업의 성장성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펀드 매니저의 역할이 적기 때문에 운용 보수가 액티브 펀드에 비해 저렴한 편이다.  

마지막으로 최근에 핫한 ETF도 펀드의 한 종류인데, ETF는 위에서 언급한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하여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 소액 투자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펀드에 비해 수수료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펀드 관련 정보 

펀드 종류만 봐서는 어떤 펀드를 선택해야 할 지 감이 안올 수 있다. 그럴 때는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협회에서 운영하는 펀드 정보 One-Click 시스템(fund.kofia.or.kr)에서 펀드 수익률 현황을 조회해 볼 수 있다.  

출처: fund.kofia.or.kr

 

특히 해당 사이트에서 핵심펀드정보 - Top5 펀드(예탁결제원) 항목을 찾아 들어가면 나오는 페이지에서 펀드 수익률이나 자금유입액, 설정액, 설정일 등으로 펀드를 조회해볼 수 있다. 조회돈 내역은 순위별로 표시되며, 투자된 기간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어 해당 펀드에 장기 투자할 생각을 하는 경우에는 3개월, 6개월 단위가 아니라 최소 연 단위로 조회를 해서 종목을 검토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아래는 현재 국내/해외 주식형 펀드 3개월 단위 수익률 Top5를 검색해본 결과이다. 이렇게 수익률을 직접 조회해서 펀드를 찾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출처: seibro.or.kr